본문바로가기

지원사업

정책자금융자
사업개요
융자대상 및 제한기업
융자절차
융자방식
세부사업
기업평가체계
지역본지부 예산현황
지역본지부 신청예약 오픈 일시
기업온라인 서비스
수출마케팅
공지사항
소싱, 내수기업 수출기업화
온라인수출지원사업
수출바우처사업
글로벌강소기업 1,000+ 프로젝트
전자상거래수출 시장진출
해외지사화사업
글로벌협력기반 구축
사업안내
글로벌비즈니스센터/K-스타트업센터
사업소개
지역별 소개
지역별 연락처
온라인신청
해외협약
인력양성
인력양성 사업소개
연수사업
청년창업사관학교
기업인력애로센터
기술사관 육성사업
중소기업 계약학과
내일채움공제사업
외국전문인력 지원사업
밸류체인 안정화
매출채권팩토링
동반성장 네트워크론
중소기업 진단지원
사업소개 및 지원내용
온라인신청
기타
ESG 진단
구조혁신지원사업
사업전환지원사업
중소기업 혁신바우처사업
재기지원사업
레저장비산업개발지원
중소기업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
재창업자금 지원기업에 대한 이행보증 지원
기업간교류
중소기업 CBAM대응 인프라구축
도약(Jump-Up) 프로그램
기후공시, 공급망 실사대응 기반 구축
사업신청
세무회계증명 온라인 제출
금융거래확인서발급
채권확인서발급
수출 신고정보 열람/이용 동의

페이지내용

세제지원

조세특례제한법의 특례사항

제33조의2(사업전환 중소기업 및 무역조정지원기업에 대한 세액감면)

① 중소기업을 경영하는 내국인이 5년 이상 계속하여 경영하던 사업 및 무역조정지원기업이 경영하던 사업(이하 이 조에서 "전환전사업"이라 한다)을 다음 각 호에 따라 2018년 12월 31일(공장을 신설하는 경우에는 2020년 12월 31일)까지 수도권과밀억제권역 밖(무역조정지원기업은 수도권과밀억제권역에서 사업을 전환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서 제6조 제3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이하 이 조에서 "전환사업"이라 한다)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전환일(이하 이 조에서 "사업전환일"이라 한다) 이후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 (사업전환일부터 5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까지 해당 사업에서 소득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5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와 그 다음 과세연도의 개시일부터 3년 이내에 끝나는 과세연도까지 해당 전환사업에서 발생하는 소득에 대한 소득세 또는 법인세의 100분의 50에 상당하는 세액을 감면한다.
1. 전환전사업을 양도하거나 폐업하고 양도하거나 폐업한 날부터 1년(공장을 신설하는 경우에는 3년) 이내에 전환사업으로 전환하는 경우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환전사업의 규모를 축소하고 전환사업을 추가하는 경우

② 제1항제2호를 적용하는 경우 감면기간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과세연도에 대해서는 같은 항에 따른 감면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③ 제1항을 적용받은 내국인이 사업전환을 하지 아니하거나 사업전환일부터 3년 이내에 해당 사업을 폐업하거나 해산한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감면받은 세액을 소득세 또는 법인세로 납부하여야 한다.

④ 제1항에 따라 감면받은 소득세액 또는 법인세액을 제3항에 따라 납부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계산한 이자상당가산액을 소득세 또는 법인세에 가산하여 납부하여야 하며 해당 세액은 「소득세법」 제76조 또는 「법인세법」 제64조에 따라 납부하여야 할 세액으로 본다.

⑤ 제1항을 적용받으려는 내국인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세액감면신청을 하여야 한다.

정보담당자

연락처

문의처중소기업통합콜센터(국번없이1357)

콘텐츠 만족도

닫기